이익잉여금

이익잉여금

이익잉여금(영어: Retained Earnings)이란 기업의 영업 활동 후 남은 당기순이익이 주주에게 배당금으로 배정되지 않거나 배정된 후에 남은 금액을 뜻 합니다. 사업에 재투자 하기 위해 비축 된 사업 이익의 누적(누계)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익 잉여금 계정은 재무상태표 자본 항목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남게 된 이익 잉여금은 기업이 R&D 투자, 설비 구매, 마케팅 등의 투자하는데…

당기법인세부채 및 당기법인세자산

당기법인세부채 및 당기법인세자산

‘당기법인세부채‘와 ‘당기법인세자산‘은 회계 상의 구분으로, 기업이 법인세를 계산하고 납부하기 위해 사용하는 항목입니다. 당기법인세부채 당기법인세 부채(영어:Current Tax Liabilities)란 현재 회계기간 동안 발생한 법인세 부채로, 당기에 지불해야 할 예상 법인세액을 나타냅니다. 회사가 이미 발생한 법인세 부채를 기록하여 기업의 재무상태표에서 당기의 부채로 보고합니다. 일반적으로, 회사는 당기의 수익에 대한 세금을 계산하여 지불할 의무가 있습니다. 이러한 의무를 반영하여…

11가지의 주식 섹터 분류(업종별)

11가지의 주식 섹터 분류(업종별)

섹터(Sector)는 한국어로 ⓐ부문, ⓑ분야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수 많은 기업들이 산업 별로 있기 때문에 경제 전반을 대표할 수 있는 11개의 섹터로 분류해 놓고 투자 자료로 활용합니다. 미국의 ‘S&P Sector’는 11개로 나뉘어져 있으며, 24개 산업군으로 다시 나뉘어집니다. 한국에서도 동일하게 분류를 하기 때문에 11가지의 주식 섹터 분류를 설명과 데이터를 통해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Ⅰ. S&P…

법정준비금

법정준비금

법정준비금이란 적립이 강제적으로 이뤄지는 상법에서 규정되어 있는 준비금을 의미합니다. 준비금은 회사가 설정한 자본액을 초과하는 금액으로(자본잉여금, 이익잉여금 등) 미래에 생긱지 모르는 비용에 대비하기 위해 적립해 두는 금액을 뜻합니다. 법정준비금 종류 법정 준비금은 자본준비금과 이익준비금으로 나뉘며, 자본준비금은 특수한 재원을 통해 적립되는 준비금이고, 이익준비금은 이익을 적립재원으로 하는 준비금입니다.

주식발행초과금이란? 증자와 자본잉여금 관계

주식발행초과금이란? 증자와 자본잉여금 관계

주식발행초과금(영어: premium on capital stock)은 기업 상장을 하면서 출자, 기업 운영 중 유상증자 시 공모가가 액면가를 초과하는 차액으로 자본준비금에 속하게 됩니다. 상법에서는 자본준비금이란 용어로 표시되어 있으며, 사용을 제한하고 있습니다. 제459조(자본준비금) ① 회사는 자본거래에서 발생한 잉여금을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자본준비금으로 적립하여야 한다. ② 합병이나 제530조의2에 따른 분할 또는 분할합병의 경우 소멸 또는 분할되는 회사의 이익준비금이나 그…

자본잉여금이란? 자본금 차이와 자본잉여금 종류 4가지

자본잉여금이란? 자본금 차이와 자본잉여금 종류 4가지

자본잉여금((additional paid in capital)은 주식 발행을 통한 자본금을 초과하는 금액을 뜻합니다. 주주와의 자본거래에서 발생하며, 출자 및 증자와 감자 등을 통해 발생한 자본금에 플러스(+) 된 금액을 의미함을 알 수 있습니다. 자본잉여금과 자본금 차이 자본금은 앞서 설명한 출자 등을 통한 자본거래에 의해 성립된 금액입니다. 이렇게 남은 자본 잉여금은 주식 배당금의 재원이 될 수 있으며, 자본전입과…

End Of Content

End Of Con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