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부가가치세는 10%입니다. 이 페이지의 부가세 계산기는 합계 금액으로 부가가치세 계산기와 공급가액 계산기 2가지로 각각 계산할 수 있습니다.
부가세 계산기
합계금액 부가가치세 계산
함계금액원
공급가액원
부가세액원
공급가액 계산기
공급가액원
합계금액원
부가세액원
부가세 계산법
1년에 2번 신고하는 부가가치세(vat)를 계산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합계금액 부가세 계산: 매출금액 ÷ 1.1
공급가액 부가세 계산: 매출금액 × 1.1
부가가치세란?
부가가치세는 조세 중 간접세의 일종이며, 용역이나 생산·유통되는 모든 단계에서 기업 및 개인 사업자가 새로 만들어 내는 부가적인 가치에 부과하는 세금입니다. 사업자가 납부하게 되는 부가가치세는 매출 세액에서 매입 세액을 차감하여 계산합니다.
부가가치세를 줄여 부가세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부가가치세 문제점: 금에 대한 부가세
한국은 금 거래를 할 때에도 부가세를 징수하지만 유럽 구각에서는 징수하지 않으며, 미국에서는 부가가치세가 아닌 소비세를 징수합니다. 이유는 금본위제 자체가 없어지긴 했지만 금은 화폐로서의 고유한 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부가가치세법
제1장 총칙
조문체계도버튼 제1조(목적) 이 법은 부가가치세의 과세(課稅) 요건 및 절차를 규정함으로써 부가가치세의 공정한 과세, 납세의무의 적정한 이행 확보 및 재정수입의 원활한 조달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조문체계도버튼연혁생활법령버튼 제2조(정의) 이 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개정 2018. 12. 24., 2020. 12. 22.>
“재화”란 재산 가치가 있는 물건 및 권리를 말한다. 물건과 권리의 범위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용역”이란 재화 외에 재산 가치가 있는 모든 역무(役務)와 그 밖의 행위를 말한다. 용역의 범위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사업자”란 사업 목적이 영리이든 비영리이든 관계없이 사업상 독립적으로 재화 또는 용역을 공급하는 자를 말한다.
“간이과세자”(簡易課稅者)란 제61조제1항에 따라 직전 연도의 재화와 용역의 공급에 대한 대가(부가가치세가 포함된 대가를 말한다. 이하 “공급대가”라 한다)의 합계액이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금액에 미달하는 사업자로서, 제7장에 따라 간편한 절차로 부가가치세를 신고ㆍ납부하는 개인사업자를 말한다.
“일반과세자”란 간이과세자가 아닌 사업자를 말한다.
“과세사업”이란 부가가치세가 과세되는 재화 또는 용역을 공급하는 사업을 말한다.
“면세사업”이란 부가가치세가 면제되는 재화 또는 용역을 공급하는 사업을 말한다.
“비거주자”란 「소득세법」 제1조의2제1항제2호에 따른 비거주자를 말한다.
“외국법인”이란 「법인세법」 제2조제3호에 따른 외국법인을 말한다.
. . .
[전문개정 2020. 12. 22.]
조문체계도버튼연혁생활법령버튼 제4조(과세대상) 부가가치세는 다음 각 호의 거래에 대하여 과세한다.
사업자가 행하는 재화 또는 용역의 공급
재화의 수입
조문체계도버튼연혁생활법령버튼 제5조(과세기간) ① 사업자에 대한 부가가치세의 과세 기간은 다음 각 호와 같다.
사업을 하다 보면 천재 지변, 질별, 사업체의 경영 악화 등으로 내야 하는 부가가치세가 부담스러울 때가 있습니다. 부가가치세 납부기한 연장이 필요할 수가 있습니다. 1. 부가가치세 납부기한 연장 신청 조건 사업체 경영 악화, 천재지변, 질병‧중상해 등 법에서 정한 사유 충족할 경우 납부기한 연장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신청을 하려면 부가가치세 신고를 한 후 납부 기한 마감일…
세무기장이란? 사업을 지속하면서 세금 신고를 하기 위한 장부 작성입니다. 사업을 영위하면서 발생하는 매입·매출에 대한 모든 영수증을 장부로 만들어 서류로 만드는 것입니다. 기장은 재무제표를 작성하는 기초가 되며, 세무 관리를 함으로써 절세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1. 세무기장-기장대리 및 신고대리 세법에 사업자는 의무적으로 세무기장을 해야 합니다. 단 영세 사업자는 복식부기가 부담이 될 수 있어 업종…
회계(會計, accountancy, accounting)는 이해관계자의 재산의 변동을 측정하고 분석하여 이를 이해관계자에게 보고하는 것 입니다. 회계 뜻은 모일 ‘회’와 계산할 ‘계’자가 합쳐져 만들어진 단어로 모아서 계산한다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기업은 보통 세무 회계와 재무 회계 2가지를 필수적으로 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기업 및 개인 사업자는 의무적으로 세무 회계 후 부가가치세 및 종합소득세 신고를 해야 하는…
적격 증빙은 부가가치세 납부 의무가 있는 사업자가 “사업과 관련된 다른 사업자로부터 재화 또는 용역(서비스)을 공급 받았을 때 그에 대한 대가를 지급했음”을 입증 해 주는 서류입니다. 부가가치세 적격증빙에는 매입자료 적격증빙과 매출자료 적격증빙으로 나뉘어집니다. 1. 부가가치세 적격증빙 종류 적격증빙이 없으면 부가세 신고 때 매입세액 공제를 받을 수 없습니다. 단순 계산 시 100만 원의 물품을 9만원…
원천세 및 부가세 등 각종 세금 관련 업무를 처리하려면 홈택스 회원 가입이 되어야 합니다. 1. 홈택스 회원가입 방법&홈택스 사업자 가입 회원 가입 시 개인으로 가입 후 사업자등록증 번호 기준으로 관리도 가능합니다만, 만일 사업자 계정으로 가입한 후에 써야 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습니다. 1.1 페이 비즈니스(카카오페이 사업자 회원 오류) 개인 회원으로 가입 후 ‘카카오페이’의…
홈택스에서 부가세 신고서 조회 및 원천세 신고서 조회를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구글이나 네이버에서 홈택스를 검색합니다. 홈택스 메인 페이지로 접속했다면 공동·금융인증서 or 간편인증(네이버 인증서, 신한은행 등)이나 아이디 로그인으로 로그인을 먼저 진행해 줍니다. 1. 부가세 신고서 조회 경로 로그인을 했다면 [조회/발급] > [전자신고결과조회]를 클릭합니다. 부가가치세 및 원천세 신고서 조회를 할 수 있습니다. 2….